한국 대표 캐릭터 브랜드 카카오프렌즈를 전개하는 카카오IX는 지난 6일부터 7일까지 양일간 미국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과 자비츠 센터에서 열린 ‘KCON 2019 NY’에 참가해 5만 5000여 명의 글로벌 팬들과 만나 K-캐릭터의 우수성을 널리 알렸다고 9일 밝혔다. KCON 2019 NY 행사장 내 마련된 카카오프렌즈 부스는 여름 바캉스 컨셉으로 제작돼 행사장을 찾은 수많은 방문객들에게 시원하고 상쾌한 브랜드 경험을 선사했다. 현장에서는 카카오프렌즈 굿즈를 구매하려는 사람들과 깜찍한 물놀이 풍경이 담긴 캐릭터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으려는 방문객들이 한 데 어우러져 인산인해를 이뤘다. 특히, 카카오IX가 올해 케이콘 참여를 기념해 특별 제작한 ‘KCON x 라이언’ 컬버레이션 굿즈는 출시 이후 인기리에 판매되면서, 점차 넓어지고 있는 카카오프렌즈의 글로벌 영향력을 실감케 했다. 카카오IX 관계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세계적인 한류 축제 케이콘에 참가해 글로벌 팬들과 직접 만나 소통하고, 카카오프렌즈 캐릭터에 대해 보다 생생하게 소개할 수 있어 매우 뜻깊은 자리였다”며, “미국 내 카카오프렌즈의 인지도가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지고 있는 만큼 현지에서도 보다
image credit :넥스트 유니콘 스타트업 하프스가 스타트업 투자 유치 플랫폼 ‘넥스트 유니콘’ 베타 서비스를 론칭했다고 4일 밝혔다. 넥스트 유니콘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스타트업과 투자자를 빠르고 쉽게 연결해주는 투자 유치 플랫폼이다. 스타트업은 회사 소개서를 업로드하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본인의 비즈니스에 투자 가능성이 높은 투자자를 24시간 내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론칭한 넥스트 유니콘 베타 버전은 투자 가능성이 높은 투자자를 찾고, 원하는 투자자에게 투자 검토를 요청을 할 수 있는 투자 ‘검토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투자자의 경우 연락처 공개 없이 구독 신청만으로 관심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의 자료를 받아 볼 수 있다. 현재 넥스트 유니콘에는 약 200여 스타트업이 가입을 완료하고, 30여 개 VC 및 엑셀러레이터에서 활동하는 심사역들이 넥스트 유니콘 서비스를 통해 투자 대상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장재용 하프스 대표이사는 "투자 유치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스타트업과 투자자 양 쪽 모두의 고민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를 기획했다.”며, “기술을 통해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활동을 돕고, 투자자들이 넥스트 유니콘을 더욱 쉽고 빠르게 발굴할
image credit : 반카 박차컴퍼니는 한국 최초로 중고 장기 렌터카 플랫폼인 ‘반카’를 지난 1일 론칭했다고 4일 밝혔다. 렌트와 중고차의 장점을 골고루 갖춘 반카는 신차 장기 렌터카와 중고차 매매와 비교해 가격 부담이 덜하고, 대여 절차가 편리하다. 렌트로써 연 1000만 원 이내의 비용 처리가 가능하며 사고가 나도 보험료 할증이 붙지 않는다. 또한 리스와 다르게 신용도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박차컴퍼니의 ‘반카’는 소비자들이 직접 온라인에서 차량과 가격을 비교하고 고를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지난 2016년부터 대형 렌터카사의 반납 차량을 중소 렌터카에게 양도 양수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여러 렌터카 업체들의 차량의 실물을 진단해 (차량) 정보를 정확하게 등록하고 반카 이용 고객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반카는 롯데 렌터카와 조이 렌터카를 시작으로 추후 국내 상위 15개 대형 렌터카 업체로부터 차량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반카 :https://vancar.kr/
룰루랩이 일본 디지털 마케팅 및 ICT 기술 소싱 그룹인 옵티마이저 그룹과 MOA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룰루랩은 삼성전자 사내벤처 C-Lab 출신 스타트업이다. 피부 데이터화 기반의 인공지능 피부 비서 ‘루미니(LUMINI)’를 개발했다. 루미니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피부를 스캔해 분석하고, 개인의 피부 상태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을 추천해주는 제품이다. 이번 MOA를 통해 룰루랩은 옵티마이저 그룹을 통해 일본 및 아시아 시장에 대한 본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옵티마이저 그룹은 30억 원 상당의 매출을 전제로 일본 시장에 대한 독점권을 보장받게 된다. 옵티마이저 그룹은 룰루랩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해 높은 주식가치를 인정한 일본 합자 법인인 ‘주식회사 룰루랩 재팬(lululab Japan Inc.)’을 올해 3분기 내에 일본 도쿄에 설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옵티마이저 그룹은 2005년에 설립된 회사로 다년간의 웹마케팅 사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및 빅데이터 분석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 활용은 물론 크로스 리얼리티(Cross Reality) 분야의 최신 기술 연구개발 및 해당 기술을 활용해 한국, 일본, 동남아 등을
예술 스타트업 아티스티가 미술품 매칭 서비스인 ‘AI 큐레이터’를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AI 큐레이터’는 아티스티 모바일 앱의 인공지능 큐레이터를 통해 고객의 요청에 어울리는 작가를 실시간으로 호출하고, 작가들이 직접 자신의 작품을 제안하는 서비스다. 단순히 시스템의 분석만으로 작품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자신의 작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아트와 기술, 그리고 작가들의 집단지성을 적절히 결합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플랫폼은 국내외를 통틀어 미술계 최초의 시도이다. ‘AI 큐레이터’는 7월 한 달 동안 베타 서비스 기간을 가질 예정이며, 아티스티 모바일 앱에서 사용 가능하다. 아티스티는 신진 미술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으로 웹과 모바일 앱으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아티스티의 미술품 플랫폼에 가입한 회원들은 자유롭게 자신들의 미술작품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SNS 형식으로 다른 작가들의 미술작품들을 감상하고 소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품 판매를 원할 시에는 검증된 작품만의 판매를 위해 자체 작가 심사 과정을 거쳐 아티스티 작가로 등록 후 판매를 할 수 있게
망고플레이트는 지난 6월 28일에 SBS 콘텐츠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망고플레이트는 솔직한 리뷰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맛집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추구하는 모바일 기반의 플랫폼이다. 망고플레이트는 이번 MOU를 통해 지난 5월 개설된 SBS의 유튜브 채널인 방송 탄 맛집(방탄맛집)과 맛집 정보 공유 체계가 형성될 예정이다. 방송 탄 맛집(방탄맛집)에서는 기존의 맛집 위치, 메뉴 등의 객관적 정보에 망고플레이트 유저들의 맛집 실제 이용 후기들이 더해져 더욱 풍부한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망고플레이트의 맛집 진성 후기는 방송에 나온 맛집에 대한 시청자들의 의구심을 해소해 주며, 이는 방송 탄맛집 채널이 더욱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맛집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더불어망고플레이트는한류열풍과 함께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 한국음식과 맛집문화에 기여하기 위해 추후 영문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망고플레이트 :http://www.mangoplate.com/
액셀러레이터 크립톤은 자사 포트폴리오 회사인 아이엠폼(IMFORM)이 미래에셋대우와 파트너십을 맺고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업)에 진출했다고 1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국내 금융투자회사가 PG 업을 겸업할 수 없었지만 지난해 말 규정이 개정되면서 미래에셋대우의 사업 참여가 가능해졌다. 앞으로 미래에셋대우는 아이엠폼과 손을 잡고 중국 위챗페이의 국내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이 위챗페이를 통해 결제하면 탠센트를 통해 환전돼 국내 가맹점에 대금이 지급되는 시스템이다. 가맹점 결제 수수료를 1.5%로 제공해 소상공인의 비용 부담을 줄였다. 아이엠폼은 위챗페이 연동 페이지 등 프론트 사업을 전담한다. 김택원 아이엠폼 대표는 “카카오페이와 네이버 등이 국내 O2O 지급결제시장에 진출해 점유율을 확대해나가고 있다”며 “아이엠폼 역시 미래에셋대우와 함께 경쟁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대우는 아이엠폼이 맞춤형 비즈니스 플랫폼에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여러 비즈니스를 도모해왔다. 지난 4월에는 양사가 손을 잡고 동대문시장에 특화된 비즈니스 플랫폼 ‘DDM 판다’를 론칭했다. 크립톤 역시 아이엠폼이 핀테크 기술과 플랫폼을 결합하는 핵
KITEE is holding 2018-2019 Annual Meeting on July 9th (Tuesday), 6:30 pm - 09:30 pm, at LG Electronics, 920 Sylvan Avenue, Englewood Cliffs, NJ. KITEE will review what KITEE has done to support "Innovation to Business" ideas during the current fiscal year, andelect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who will lead KITEE in the upcoming fiscal year. And they will elect Directors (Board Members) and an Auditor. Member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network and brainstorm with your fellow innovators & entrepreneurs to draw a creative picture future career together. Any question, please contact us at
무료로 스포츠 경기 결과를 예측하고, 매일 새롭게 설정되는 상금을 우승자들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피클플레이(PICKLE PLAY)’가 정식 론칭 3개월 만에 가입자 수 11만 명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3월 14일 정식 론칭 이후 앱 다운로드 수 11만 건 돌파, 데일리 픽 참가자 3만 2000명 돌파, 총 160만 명의 참가자, 총 2억2 000만 원의 누적 상금 등 기록적인 수치를 나타내며 빠르게 성장 중인 피클플레이(PICKLE PLAY)의 인기 요인은 ‘무료 서비스’라는 점과 ‘높은 우승 상금 혜택’에 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가입자 중 7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20~35세 연령층에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포인트다. 피클플레이 서비스를 운영하는 WAGTI(왁티)의 강정훈 대표는 “이번 여름 이후부터는 결과 예측뿐만 아니라 스포츠에 대한 콘텐츠나 최신 뉴스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리뉴얼할 계획이고, 향후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유저들에게 더 많은 재미와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왁티 :http://www.wagti.com/
VIRCH STUDIO TEASER VIDEO 스마트 피트니스 스타트업인 컨시더씨는 세계 최초로 4K 실감형 콘텐츠 기반의 실내 사이클링 강의 솔루션인 ‘버치스튜디오’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컨시더씨는 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통해 올해 하반기 버치스튜디오 직영 1호점을 서울에 개설하여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이후 전국적으로 지점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컨시더씨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IT 스타트업으로 2017년에 모바일 앱과 연동되는 IoT 스마트 바이크 ‘버치바이크’를 자체 개발하여 처음 선보였으며, 지속적인 혁신과 연구개발을 통해 시스템을 확장하여 현재 버치스튜디오를 시범 운영 중이다. 한편 버치스튜디오는 IoT 바이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50분 단시간 동안 고강도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신개념 그룹 운동 스튜디오로서 실사 기반의 라이딩 콘텐츠와 사이클링 강의에 맞춰 실시간으로 자전거 운동 부하를 자동 조절한다. 또한 영화관을 연상케 하는 대형 고화질 4K 디스플레이와 고급 음향 시설이 구비된 소규모 공간에서 10인이 동시에 실감 나는 강의를 즐길 수 있으며 강사 또는 세션 리더의 리드를 통한 라이딩과 그룹 간
브로콜리 운영사 머니랩스는 금융위원회가 선정하는 제5차 혁신금융서비스에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브로콜리는 은행, 증권사, 카드사 등 각 금융기관에 흩어져 있는 자산과 부채, 수입 및 지출 정보를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국내 최초 개인자산관리 서비스다. 업계 최장기간 축적된 종합금융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업계 최고 수준의 정보보호 전문조직을 통해 글로벌 기준의 정보보안 및 소비자보호 정책을 수립, 수년간 운영하고 있다. 지난 4월과 이달 초 각각 관리자산 규모 10조 및 100만 다운로드 수를 달성했다. 브로콜리 혁신금융서비스는 대출 쇼핑부터 금리인하까지 비대면으로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원스톱 대출서비스를 골자로 한다. 고객에게 유리한 상품 탐색 및 가입을 지원하는 것뿐 아니라 자산 및 신용등급 변동에 따라 대환대출 및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등 이후 관리까지, 대출 관련 경험 전반에 거쳐 최적의 의사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기적으로 고객으로부터 동의받은 브로콜리 내 종합금융데이터 분석 결과를 대출기관에도 제공해 상품 가입 시 고객이 보다 유리한 조건을 제시받을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회사는 대출모집인 1사 전속주의 규제 특
사진 : 왼쪽 부터 메디블록공동 창업자,고우균, 이은솔 대표 메디블록은 의료계에서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하반기에 ‘메디패스’라는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메디패스는 간편 보험청구 서비스로 블록체인의 기술을 활용해 대형 보험사와 대형병원 등 유관기관과 연동하여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바로 실생활에 접목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서비스는 한국 최고의 대형 의료기관들(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등)은 물론 삼성화재와 같은 여러 대형 보험사들과 함께 만들어 가고 있는 서비스로 의료계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메디블록 관계자는 메디블록의 메인넷 론칭은 서비스 론칭은 7월 말 경으로 조정되었고, 메디패스는 관련 기관들과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여 호평을 받았으며, 지속적으로 연계 의료기관 및 보험사를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메디블록 :https://medibloc.org/
image credit :트립비토즈 트립비토즈는 여행 영상을 촬영하고 전 세계인들과 공유할 수 있는 소셜 여행 플랫폼을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여행자들의 영상은 호텔 예약이 가능한 리워드 ‘트립캐시’로 보상받으며, 유저들은 클릭 한 번으로 영상 속 지역을 실시간 예약할 수 있다. 트립비토즈는 2017년 서비스 출시 후 약 80만 개의 숙박시설을 확보하면서 여행 플랫폼 시장에서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최저가 호텔 예약에 따른 차액 보상이 가능한 호텔 예약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기도 했다. 정지하 트립비토즈 대표는 “영상 콘텐츠를 통해 ‘내 손안에 여행’이라는 트립비토즈의 가치를 글로벌에 선보일 것”이라며 “영상 기반의 커머스 OTA (Online Travel Agency)는 전 세계에서 최초”라고 말하고 “호텔의 설명하는 글과 사진도 모두 영상으로 대체될 것”이라며 “가격 경쟁력, 미래 기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 OTA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립비토즈는 2017년 말 크립톤으로부터 첫 투자를 받은 후 지난해 5월과 올해 2월 각각 SJ투자파트너스, KB증권, ES인베스터로부터 15억 원 프리 시리즈 A 투자
데이터 기반의 돈 관리 플랫폼 뱅크샐러드가 고객이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보험을 스스로 가입하고 해지할 수 있는 서비스인 ‘스위치 보험’ 서비스를 론칭했다고 24일 밝혔다. 스위치 보험은 단기간 운전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는 등 평범한 일상에서 보호가 필요할 때 보험을 켰다가 끌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개인이 지정하는 기간이나 시간에 맞춰 자유롭게 보험을 조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라고 평가받는다. 뱅크샐러드 스위치 보험은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을 위한 여행자 보험으로 첫 선을 보인다. 서비스는 해외여행을 앞둔 고객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뱅크샐러드 앱에 접속해 간단한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여행 일정만 등록하면 된다. 그리고 이후에는 해외여행을 떠날 때마다 뱅크샐러드 앱에서 출국/입국 일시만 입력하면 보험이 자동으로 켜졌다가 꺼진다. 반복했던 여행 보험 가입의 번거로움은 사라지고, 혜택은 마음껏 누리는 혁신이 버튼 한 번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제공되는 상품은 업계 1위의 삼성화재 해외여행자 보험이다. 이 상품은 현지에서 발생하는 상해, 질병, 도난, 파손 등 다양한 개인의 손해를 보장하며, 현지에서 지출한 치료비도 여행에서 돌아와 청구할 수
사진: 지난 5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Viva Technology 2019에서 기술 기반의 뷰티 산업에 대해 발표하고 있는 최용준 룰루랩 대표 룰루랩이 13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CES 아시아 2019(CES Asia 2019)에서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기술 기반의 뷰티 산업 혁신을 주제로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룰루랩은 삼성전자 사내벤처 C-Lab 출신 스타트업이다. 피부 데이터화 기반의 인공지능 피부 비서 ‘루미니(LUMINI)’를 개발했다. 루미니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피부를 스캔해 분석하고, 개인의 피부 상태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을 추천해주는 제품이다. 한편 룰루랩은 지난 3월 이탈리아에서 열린 세계 최대 뷰티 박람회인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 볼로냐 2019(Cosmoprof Worldwide Bologna 2019)와 4월에 개최된 프랑스 최대 혁신 기술 콘퍼런스인 비바 테크놀로지 2019(Viva Technology 2019)의 ‘LVMH 럭셔리 랩(LVMH Luxury Lab)’에도 초청받아 뷰티 산업의 혁신에 대해 발표한 바 있다. LVMH 럭셔리 랩은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의 모회사 LVMH그룹에서 전 세계 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