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gvist app 링비스트(Lingvist)는 2013년에 설립된에스토니아 탈린 기반의 스타트업으로언어 학습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통계 분석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언어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링비스트(Lingvist)는 사용자가 200 시간 이내에 새로운 언어를 배우도록 돕기 위해 고안되었고, 이론적으로 가능한 한 빨리 언어 학습 과정을 만들기 위해 수학적 최적화와 통계를 적용한다. Screenshot 학습자는 통계적 관련성에 따라 어휘를 사용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학습함으로써 시작되며,Lingvist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실수와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코스를 적용한다. 이것은 모두 Lingvist가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학습 속도를 10배 높이고 애플리케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Lingvist는 모든 컴퓨터, 스마트 폰 및 태블릿에서 작동하며 베타 버전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인 교실 기반 학습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Lingvist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공부할 수 있다. Li
©https://www.saillog.co/ 세일로그(Saillog)는 2017년 설립된이스라엘 텔아비브 기반의 농업 테크 스타트업으로농작물 및 해충 관리를 위한 인공 지능과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Saillog가 출시한 Agrio앱은 전 세계 30,000 명이 넘는 농부들이 활용하는 다국어 지원 플랫폼 스마트 폰 응용 프로그램이다. Agriog 앱은 사용자가 병에 걸린 작물의 이미지를 업로드 한 다음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 질병 식별을 위해 분석한 한다, 사용자는 몇 초 안에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최적의 치료 방법에 대한 의견을 제공하는 전문가 팀과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지난 3월 Saillog는 최초의 AI 작물 질병 및 해충 경보 시스템Agrioshield를출시하였다. Agrioshield는 프리미엄 서비스이며, 인근 농장에서 농작물 질병과 해충이 발견된 후 가입자들에게 통보한다. 이러한 경보는 서면 예방 조치와 함께 감염을 예방하고 생산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네시 베니시(Nessi Benishti) :CoFounder 웹사이트 :https://www.saillog.co/
인공지능(AI) 기반 에듀테크(edu-tech) 기업 알고리즘랩스가 정상JLS와 전략적 투자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투자를 계기로 알고리즘랩스는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SW) 교육 컨텐츠와 전문 코치를 정상JLS가 운영중인 전국 100여개 학원에 제공하게 된다. 지난 4월 대치동 정상수학학원에 강좌를 개설한 알고리즘랩스는 올여름 목동과 분당 정상 분원에 추가 강좌를 개설하고 전국적인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알고리즘랩스는 AI 알고리즘과 SW 교육을 연구하는 에듀테크 스타트업으로, 알고리즘랩스의 교육 커리큘럼은 미국 MIT, Stanford 대학교의 컴퓨터 사이언스 과정을 토대로 국내 최고 알고리즘 전문가 집단에 의해 개발됐다. 온라인 강의 시스템 MOOC과 문제풀이, 성적관리 시스템 LMS을 바탕으로 학생의 수준에 맞는 문제와 강의를 AI가 제공하는 어댑티브러닝(Adaptive Learning)과 온오프라인 수업을 혼합한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 교육을 추구한다. 2017년 정주영 창업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미래창조과학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K-Global 300과 K-Glob
‘이해라이프스타일’이 AR기반 홈퍼니싱 추천/배치 서비스 미스터공간(Mr.GONGAN)의 오픈 베타서비스를 11일 시작한다. 최근 1인가구를 중심으로 인테리어 공사 없이 가구와 소품으로 집안을 꾸미는 홈퍼니싱과 관련하여 찾아가는 매장을 찾아 다니는 번거로움과 구매 후 집에 배치 하기 전까지 어울릴지 고민하는 고객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미스터공간은 모바일과 웹을 통해 홈퍼니싱 알고리즘 추천과 가상현실 기술 기반 사전배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스터공간’은 디자인, 친환경, 가성비 등을 기준으로 중소 가구업체를 선별하였다. 각 업체별 단품 상품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홈 공간을 디자인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한편 고객은 서비스 내 큐레이션 기능을 통해 총 9가지 질문에 답하면 본인의 유형과 그 유형에 맞는 가구와 공간을 추천 받을 수 있다. 특히 디자이너가 최종 검수하는 가상 배치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집에 구매 전 가구와 소품으로 꾸며진 홈퍼니싱 결과를 사전에 알 수 있다. 미스터공간은 APP을 깔지 않고도, 웹에서 고객 큐레이션과 내방에 입혀보기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해라이프스타일에서는 5월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가구 및 그림, 액자
(왼쪽 3번째부터 에버스핀 하영빈 대표, SBI Holdings 키타오 회장) 한국 보안 스타트업 에버스핀이 총 2,000만불(한화 환산: 약210억원)을일본 금융그룹 SBI Holdings(1,500만불)와 홍콩 유명 PE투자사인 Blackpine(500만불)로 부터투자 유치 했다고는 10일 발표했다. 금번 투자를 리딩한 일본 SBI Holdings는 20여개국에 증권, 은행, 보험 등 약 200여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종합금융그룹으로, 2018년 3월말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3천억원과 자산 45조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18년 여름 암호화폐 거래소 개장을 예정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캐시(BCH)를 결제통화로서 리플(XRP)를 송금통화로서 코인의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는 차세대 금융리딩그룹이다. 또한, 미국 가상화폐거래소 '크라켄'과 세계 최대 금융특화 블록체인 컨소시엄 'R3'등 8개 블록체인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Blackpine은 중국에서 알리바바에 이어 두번째로 큰 핀테크 기업이자 P2P 대출 스타트업 루팍스(기업가치 약 65조)를 발굴한 투자사이다. 또한, Blackpine의 창업자 로렌스 추는 홍콩 이더리움협회 설립자 제한 추와 함께
국회퇴사자들의 정치스타트업 (주)폴리시브릿지는 캠페인 활동을 지원하는 플랫폼인 ‘폴박스(POLBOX)(www.polbox.kr)’를 론칭한다고 밝혔다. 폴박스는 다양한 사회 캠페인을 준비하거나 시작하려는 개인, 단체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서명운동, 펀딩, 동료찾기 등의 서비스를 통해 캠페인의 지지자와 캠페인에 직접 참여해 활동할 동료들을 모을 수 있고, 캠페인 활동에 필요한 자금도 모금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의 컨설팅서비스와 캠페인 모임장소 제공 및 물품대여까지 캠페인을 진행하고, 성공하기 위한 전 과정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사회이슈에 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일상화되었고, 많은 캠페인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막상 어떠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했던 개인 및 단체들에게 폴박스 서비스가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전문가의 컨설팅서비스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캠페인의 목적과 방향을 수립하며, 실현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은 기존의 단순 서명운동 사이트 혹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와의 가장 큰 차별점이라 할 수 있다. 캠페인을 지지하는 참여자들 또한 서명과 펀딩 등에 보다 간편하게 참여함으로써 지지의사를 손쉽게 밝힐 수
통합 번역 플랫폼 플리토(대표 이정수, www.flitto.com)가 오늘 중국 최대 창업 거리 중관춘을 총괄하는 기관인 이노웨이(中关村创业大街, innoway)와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노웨이는 올해 정식으로 글로벌화를 선포하고 적극적으로 해외 스타트업 유치 및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플리토는 이노웨이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번역 서비스를 제공 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노웨이가 중국 정부와 함께 운영하는 ‘중관춘 창업 거리(Innovation Street)’에 입주한 스타트업에 적합한 전문 번역가 매칭 서비스 및 콘텐츠 번역 컨설팅도 제공 할 계획이다. 중국에서 혁신 창업 자원이 가장 밀집된 중관춘의 핵심 구역에 위치한 이노웨이(중관춘 창업 거리)는 혁신 창업을 주제로 베이징시와 하이뎬구 정부가 공동으로 조성한 중국의 첫 특색 거리이다. 2014년 6월 12일 중관춘 창업 거리 조성 이래 이노웨이는 누적 1,700여 개의 스타트업을 육성해왔고, 그중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743개에 이르며, 총 투자 금액은 91.04억 위안(약 1조 5,503억원)에 달한다. 중관춘 창업 거리에 입주한 스타트업은 법률 자문, 임대료 감면, 공상 등기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