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연두 컬리너리 스튜디오에서 글로벌 장 워크숍을 진행하는 자우마 비아르네즈 수석셰프 샘표가 12일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연두 컬리너리 스튜디오(Yondu Culinary Studio)’에서 뉴욕의 한국계 셰프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장 워크숍(Global Jang Workshop)’을 진행했다. 이번 ‘글로벌 장 워크숍’은 샘표가 콩 발효 순식물성 요리에센스 연두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뉴욕에 마련한 ‘연두 컬리너리 스튜디오’ 개관을 기념해 특별히 기획한 행사다. 샘표는 세계 각지에서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검증 받은 콩 발효 순식물성 요리에센스 ‘연두’를 앞세워, 우리 맛의 근본인 발효 기술과 장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9월 뉴욕에 ‘연두 컬리너리 스튜디오’를 열었다. 이번 ‘글로벌 장 워크숍’의 주제는 ‘한국의 장, 글로벌 식문화를 향한 새로운 길을 발견하다(Discovering new paths towards global food cultures)’였다. 샘표가 세계 최초의 요리과학연구소로 유명한 스페인 알리시아 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한 ‘장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공유하는 자리라 뉴욕에서 맹활약 중인 한국계 셰프들이 큰 관심을 보였다. ‘아토보이(
어떻게 하면 대박이 나고, 부자가 될 수 있을까? 과거에 많은 사람들을 부자로 만든 대박 발명품들과 아이디어들!! 이 발명품들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지금부터 만나보도록 할까요? 그래서 우리도 본받고 다들 대박이 나고 부자가 됩시다. 요즘 지인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잘못된 상식으로 우기는 사람들이 없어졌다. 구박사에게 (Google) 물어보면 답변이 몇 초만에 나오기 때문이다. 구박 사는 만물박사인 동시에,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의 빅브라더처럼 우리에 대해서 잘 안다. 구박 사는 우리에 대해서 어떻게 그렇게 잘 알 수 있을까? 구글 어카운트와 전화기를 통해서 우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우리가 다니는 직장, 학교, 상점 등 모든 것이 구글 손바닥 위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전화기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SIM 카드와 GPS (위치추적) 칩이 편리함도 주지만, 그 대가로 우리의 정보를 전화회사와 구글 등에 노출시킨다. SIM 카드는 손톱보다도 작은 금박의 작은 카드로 어느 사이에 우리의 정체성, 재정 및 통신을 좌우한다. 크레디트 카드에도 있고, 전화 기안에도 있다. 또 한국의 경우에는 교통카드 안에도 있다. 이 조그마한 카드 안에 개인
©http://looxidlabs.com/ 생체 정보 기반의 감정분석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하는 ㈜룩시드랩스이 헤이스팅스 자산운용, 대성창업투자, 세종벤처파트너스, 삼성벤처투자로부터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로 룩시드랩스가 현재 개발 중인 뇌파 등의 생체신호 기반 사용자 감정분석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및 출시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룩시드랩스는 VR•AR•MR 환경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활용해 사용자의 인지/감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룩시드랩스는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스타트업 행사인 ‘테크크런치 디스럽트 2017 경쟁 부문’에 본선 진출한 이래 글로벌 무대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또한, 세계 최초의 시선-뇌파 데이터 수집용 모바일 기반 VR 헤드셋 ‘룩시드VR (LooxidVR)’ 로 CES 2018 가상/증강 현실 분야의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룩시드랩스는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개발 역량 강화 △ 현재 진행 중인 감정 분석 인공지능 기반 마케팅 솔루션 및 멘탈케어 솔루션의 사업 확장 △미국 현지법인 경쟁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사진 : 빅밸류 공동창업자들 부동산 빅데이터 기업 ㈜빅밸류가 KDB 산업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인라이트 벤처스로부터 20억 원대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12일 밝혔다. ㈜빅밸류는 부동산 빅데이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비정형 공동주택의 시세를 산정하여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으로 부동산 시세 데이터를 신한은행, 부산은행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 금융위원회가 금융회사의 핵심업무를 핀테크 기업에 위탁할 수 있도록 도입한 ‘지정 대리인 제도’에 선정된 바 있다. 이번 투자는 대용량의 부동산 데이터를 빅밸류가 자체 개발하여 특허 등록한 ‘위치기반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수집〮저장〮처리하는 기술과 기계학습을 통해 비정형 부동산의 시세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시장성과 확장 가능성 그리고 기술의 완성도를 인정받아 이루어지게 되었다. 최근 주요 금융사들이 잇따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원년’을 선포하고,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도태되지 않기 위한 전략적 투자와 신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빅밸류의 독자적인 부동산 데이터 처리 기술과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금융사들과의 비대면 대출, 자산관리, 상품개발 등 다양한 디지털 혁신의 협업 모델을 찾기 위한 노력이
사진 : 왼쪽으로 부터스티브 테이 베잔트 대표, 코미카 김창민 대표 베잔트 파운데이션이 한국 최대 웹툰 플랫폼 코미카를 서비스하는 (주)코미카엔터테인먼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베잔트는 코미카가 진행 중인 블록체인 기반 웹툰 플랫폼 ‘체인코믹스’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로 합류한다. 베잔트는 성공적인 암호화폐 공개(ICO)부터, 프로덕트 개발, 디앱(dApp·분산형 애플리케이션) 파트너 발굴, 글로벌 메이저 거래소 상장까지 블록체인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주요 이정표를 차례로 달성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체인코믹스 프로젝트 성공을 견인할 전망이다. 코미카의 체인코믹스는 콘텐츠 중계자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작가와 독자들이 직접적으로 소통하면서 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탈중앙화 웹툰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기술 접목을 통해서 플랫폼과 창작자들의 불공정 계약 및 불투명한 정산 구조, 플랫폼의 글로벌 진출 한계 이슈 등 웹툰 업계가 현재 직면한 문제점 해결에 나선다. 또한, 창작자들이 처한 문제는 물론 사용자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창작 과정에 참여하고 창작자를 응원할 수 있도록 토큰을 활용한 다양한 보상 구조를 선보인다
image credit :룰루랩 뷰티 AI 스타트업 룰루랩이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 'CES 2019'를 앞두고 바이오 테크 부문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을 수상했다고 12일 (한국시간) 밝혔다. CES 혁신상은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매년 1월에 개최하는 CES에 앞서, 28개 부문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들을 선별하여 수여하는 상이다. 룰루랩은 삼성전자 사내벤처 C-Lab을 통해 스핀오프한 기업으로, 인공지능 피부 비서 ‘루미니(LUMINI)’를 개발했다. 루미니는 이번 CES 혁신상을 수상한 제품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피부를 스캔하여 10초 안에 분석하고, 개인의 피부 상태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을 추천해준다. 루미니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갖고 있는 피부 고민인 주름, 모공, 트러블, 기미 등 6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피부 상태를 수치화하고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추천해준다. 헬스케어의 경우 체중 및 혈당 등 과학적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처럼, 루미니는 피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피부를 관리하고 미래에도 해당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
에듀테크 스타트업 ㈜밍글콘이 지난 10월 26일 투자를 유치하였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투자유치에는 보통주 신주발행 방식으로 개인 에인절 투자자가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밍글콘은 2016년 8월에 설립한 법인으로 미취학 아동에서 초등 저학년생들을 위한 맞춤식 게이미피케이션 영어교육 콘텐츠를 개발 및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듀테크 기업으로 모바일 앱, VR앱, 웹 콘텐츠, 그리고 언플러그드 컴퓨팅 콘텐츠 등 아이들의 눈높이에 적합한 재미있는 영어교육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밍글콘은CEFR을 근간으로 학습에 게임과 놀이 활동을 접목한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에 영어학습 모바일앱 ▲밍글콘! 농구 영단어 240 ▲밍글콘! 정글 영단어 240 ▲밍글콘! 학교 영단어 240 ▲밍글콘! 서커스 영단어 240 등을 출시해 서비스하고 있다. 진현정 밍글콘 대표는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국내 판로개척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에 보다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며 “올해 연말을 기점으로 중국, 베트남, 유럽시장으로 확대하여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밍글콘 지난 8월성남 밀리토피아 호텔 그랜드볼륨 & 로비에서 개최된'201
뉴욕--(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18년 11월 09일 -- 전미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CTATM)가 최우수 혁신(Best of Innovation) 제품을 포함한 CES2019 혁신상 수상작(CES® 2019 Innovation Honorees)을 8일 발표했다. 이 발표는 연례 CES 언베일드 뉴욕(CES Unveiled New York) 행사에서 이뤄졌다. CES 언베일드 행사는 최고의 미디어, 전시업체 및 전문기술자들이 모이는 초청자 전용 기술행사로 획기적인 소식을 공유하고 앞으로 있을 CES 2019에서 선보일 제품과 트렌드를 미리 엿볼 수 있다. CTA가 소유 및 주관하는 CES 2019는 2019년 1월 8~11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다. 탁월한 디자인을 선정하는 연례 프로그램인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s)은 총 28개 제품 카테고리에서 수상작을 정한다. 디자이너, 엔지니어, 테크 미디어 종사자들로 구성된 전문 심사위원단이 디자인, 기능, 소비자 어필, 엔지니어링, 경쟁작들과의 비교 등을 기준으로 제출작들을 평가한다. 각 제품 카테고리에서 가장 높은
부산시 기반의 헬스케어 제품 전문 제조업체인 (주)리디자인의 대표적인헬스케어 제품인‘딥다라인’은 댄스와운동을 접목시켜 만든 흥미로운 댄스운동기구이다. 딥다라인은허리 허벅지 엉덩이 팔뚝 등 네 군데 부위의 16가지 동작과 4가지 근력운동을 앱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을 보며 따라 하면 되는 아주 쉽고 편리한 홈트레이닝 운동기구로 출산 후 몸매 관리를 원하는 여성층이 주 구매 고객층으로서 호응이 매우 높다. 딥다라인 홍보영상 딥다라인은아름다운 힙 라인, 가슴라인을 만드는 운동에도 효과적이라서 한국의 여성 전용 인기 사이트인 다이어트신, 미미박스, 아이뷰티랩 등 대형 여성전용 쇼핑몰에 입점되어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 딥다라인 한국 판매가 : 69,000 원 공식 쇼핑몰 :http://dipda.co.kr/ image credit :리디자인
3D VR 솔루션 전문 기업 모픽의 스냅3D가 2019 CES 혁신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미국 진출에 도전장을 낸다. CES 혁신상은 소비자 가전 제품 중 가장 혁신적인 기술 및 디자인을 선정하는 연례 수상 프로그램이다. 수상 여부는 11월 8일(미 동부시간)에 결정됐다. 스냅3D는 CES 혁신상 총 28개 부문에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 액세서리 제품’ 부문에 선정됐다. CES 혁신상 수상작들은 전시회 현장에 별도로 전시돼 참관객들의 주목을 받기 때문에 매년 그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모픽 관계자는 “2019 CES 혁신상에 도전하는 스냅3D는 앱 기반의 기능성 스마트폰 커버 제품이다”며 “본 제품은 3D안경 없이 맨눈으로 입체화면을 감상할 수 있으며 평소에 스마트폰 뒷면을 감싸는 보호 케이스로, 스냅3D의 기능은 계속 추가되고 있다”며 “최근 스냅3D의 새 기능으로,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3D 입체 사진으로 바로 변환해 주는 기능이 나와서 소비자에게 신선하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라고 말했다.
사진: 홍콩 IR행사 외식 주문 중개 플랫폼 전문기업 씨엔티테크(주)가 지난 6일 '전화성의 어드벤처 11기'의 홍콩 IR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8일( 한국시간) 전했다. 올해 5월 모집한 '전화성의 어드벤처 11기'는 지능정보 기반의 스타트업으로 이번 홍콩 IR행사에는 △어거스트텐 △비스키츠 2개 스타트업이 참석했다. 어거스트텐은 IT기술과 뷰티기술을 융·복합해 미세전류 디지털 마스크팩 '시크릿 810'을 개발한 3년 차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10월 양산 시작으로 현재 프랑스, 스페인, 스웨덴, 크로아티아, 독일 등 유럽 5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 뷰티살롱 3,000여 곳에도 보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과의 수출 계약을 완료하여 1,000여 곳의 스파에도 수출을 시작했다. 비스키츠는 어린이, 노인,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는 안심 트래커를 개발한 스타트업으로 IoT 전용망 LTE Cat.M1을 활용하여 월 1000원의 저렴한 통신비로 위치 추적 기능은 물론 보이스 메시지 기능까지 제공한다. 이날 IR 행사에는 씨엔티테크의 전화성 대표, 브릿지 파트너스(Bridge partners)의 Scott MASEK 애널리스트, 그리고 라자다
유기농 여성용품 브랜드 라엘(Rael)이 약 200억 원 규모(미화 1천750만 달러)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한국시간) 발표했다. GS리테일-미래에셋 합작 펀드 주도로 이뤄진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프리 시리즈 A 투자에 참여했던 소프트뱅크벤처스(Softbank Ventures), 에이티넘 파트너스(Atinum Partners), 슈피겐 (Spigen) 및 뱀 벤처스(BAM Ventures) 등이 후속 투자자로 다시 참여했고, 새롭게 TBT 벤처캐피털, 롯데 쇼핑, 닉스 코스메틱 (NYX Cosmetics) 창업주 토니 고(Tony Ko) 및 프리츠커 그룹(Pritzker Group) 벤처캐피털 등이 합류했다. 라엘은 여성들이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유기농 여성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기치로 세 명의 한인 여성들이 미국에서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현재 미국과 한국, 두 지역에 법인을 운영하며 캐나다, 영국,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호주, 일본 아마존을 통해 제품을 선보여 왔다. 라엘 유기농 생리대는 일부 생리대 제품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부른 ▲농약 면화 ▲염소 표백제 ▲포름알데히드 ▲형광증백제 ▲화학향료 ▲색소 등 6대 유해 물질을